농작업자를 위한 안전보호장비 착용! 폐용기는 지정된 장소에 보관 ! 올바른 사용으로 국민 먹거리 지키자more
작물보호제의 올바른 사용법(1)
☝🏻 해당 작물에 등록된 작물보호제만 사용!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 ! 라벨확인과 안전사용기준 준수는 필수 ! 잊지 말자고 😎more
농약(작물보호제)의 이해
1.농약의 역할 2. 농약의 정의 3. 농약의 종류 4. 약제별 농약제품의 라벨 5. 포장지 용어 설명 6. 농약의 제형에 따른 분류 7. 농약(원제)의 개발과정 8. 농약 등록 절차 9. 농약의 등록현황 10. 전세계 및 국내 발생 병해충 잡초 현황more
농약의 올바른 사용방법
1.병해충 진단 2. 등록 농약의 올바른 선택 3. 적기살포 우수한 방제효과 4. 살포시 사용약량 준수 5. 안전사용기준 지켜야 안전농산물 생산 6. 살포액의 조제 및 혼용순서 7. 살포조제액의 경과시간별 주성분 함량 8. 농약의 살포기구와 노즐의 활용 9. 농약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요인 10. 안전사용을 위한 5가지 수칙 11. 유형별 농약 중독사고 원인 12. 농약빈용기수거제도 13. 농약의 […]more
농약의 저항성 관리
1.약제 저항성이란? 2. 약제 저항성의 종류 3. 감수성개체에서 저항성개체로의 발전과정 4. 저항성 발현의 중요 3대 요인 5. 저항성 해소 ‘약제 작용기구 표시제도’ 시행 6. 저항성 예방을 위한 올바른 농약 사용방법 7. 살균제 작용기작별 분류기준 8. 살충제 작용기작별 분류기준 9. 제초제 작용기작별 분류기준 10. 약제 저항성의 효율적인 방제 대책more
PLS와 작물보호제(농약)
1. 식품 중 위해요소 2. 농약의 사용, 잔류, 분해소실, 3.농약안전사용기준(PHI)과 MRL, 4.농약 PLS(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 5.PLS 시행 전.후 비교, 6.농약잠정등록제도 만료, 7.농산물 안전성 검사, 8.오.남용 예방을 위한 농약판매기록 의무화, 9.부정농약 및 불량농약 유형more
농약 빈용기의 ‘새 생명’ 부여하기
농약 빈 용기를 세 번 헹군다면 30회 이상을 재활용할 수 있고, 농촌 환경과 살포하시는 분을 더욱 안전하게 합니다.more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길 76(대양빌딩 5층)5F, Dae Yang B/D 76, Gangnam-daero 34-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Copyright(c)2013 KCPA. All rights reserved.